한국은행 간행물 발간
MZ세대의 현황과 특징
한국은행에서는 분야별(정책, 금융, 화폐&통화, 경제 등)로
연구자료 및 간행물을 발간합니다.
주기적으로 들어가보면 진짜 읽을거리도 많고 배울것도 많죠
어마어마한 양질의 보고서들을 읽다보면
한국은행에서 근무하는 분들은 어떤분들일까 싶습니다.
(실제로 오늘 그랬음...)
오늘 제가 읽고 흥미로운 간행물이었어서
후기 겸 기억에 남길겸 포스팅을 해보려고 해요.
"MZ세대의 현황과 특징"
주제: 경제일반
저자: 미시제도연구실 최영준 연구위원
소개에 앞서 본 간행물의 내용은
한국은행의 공식 견해가 아닌 집필자
개인의 견해임을 밝히고 시작하겠습니다.
이웃님들은 MZ세대가 정확히 어느 세대를
말하는지 알고 계신가요?
요즘 예능 또는 그 외 TV프로그램에서
자주 등장하는 단어 MZ세대 입니다.
저는 MZ세대가 아~옛날에 베이비부머 시대
혹은 X세대 이런것 처럼 한 시대를 일컫는 말이구나
그냥 우리나라에서 젊은 사람들을 통용하여 부르는
말인가보다 싶었습니다. 대충 밀레니엄 블라블라...세대?
본 간행물에서는 MZ세대를 "디지털 기술 발전과 함께 성장한
(2018년 기준 24~39세, 1980~1995년생)세대" 라고 소개합니다.
저 또한 MZ세대였네요.
위 올린 도표를 보면 MZ세대는 한 세대를 통틀어
일컫는 말이 아닌 Z세대와 M세대를 묶어서
통용하는 말인것 같습니다.
본 간행물에서는 총 5세대를 비교해가며 MZ세대의
현 상황에 대해서 설명하는데요.
BB(베이비부머) 이전 세대
BB(베이비부머) 세대
X세대
M세대
Z세대
각 세대별로 소득, 소비, 부채 증가, 저축 등 분야별로
비교하는 도표들이 참 흥미롭습니다.
본 MZ세대 현황 간행물에서 말하는 MZ세대는
전 세대별 비교시 경제상태가 타 세대(X, BB)에 비하여
취약한 것으로 말을 하고있는데요.
그에 한 예로 MZ세대의 근로소득은 세대별 동일 연령대에
비하여 크게 높아졌으나, 근로소득 증가폭은 하회한다고 합니다.
그에 반해 주택마련을 위한 금융기관을 통한 부채는 또 세대별 비교시
대폭 높아진 점을 꼽을 수 있겠네요.
여러분은 일과 본인의 삶 또는 가정 중 어떤걸 우선시 하시나요?
저 또한 요즘 밸런스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.
돈? 많이벌면 좋지만, 제 시간을 뺏어가며 돈을 많이 버는건
모르겠습니다... 의미없다고 생각됩니다.
이런 생각이 MZ세대 전반적으로 동일시 나타나는 모양입니다.
흔히 말하는 워라밸 (Work and Life balance) 젊은 세대에서는
타 세대에 비해 월등히 높은 편입니다. 전 세대(아버지, 어머니)에서의
경주마 같은 부모님들을 봬와서 그런걸까요?
아님 시대적으로 근로소득은 쉽게 늘지않으나 인플레이션은 급등하고
몸 하나 뉠수 있는 주거공간은 마련하지 못한다는 막연함 때문일까요.
(사실, 저도 쓰면서도 막막합니다.)
현 MZ세대, 즉 앞으로 경제활동이 전 세대보다
월등히 활발해야하는 세대가 이러한 경제상태이다 보니
본 간행물 마지막 부분에서는 향후 본 세대를 통한
경제적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시사하고
정책당국은 MZ세대를 연구하고 소득 증가 및 부채
감소등의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합니다.
요약은...없습니다.
본인이 MZ세대라면 한번쯤은 읽어보면
정말 흥미로울테니 꼭 한번 읽어보시면 좋겠네요!
(길지 않고 간결하고 그림이 많아 쑥쑥 들어옵니다!)
| 경제일반 | 주제별 검색 | 간행물 | 조사 · 연구 | 한국은행 홈페이지
조사연구자료 게시물 중 경제 일반에 관련된 주제의 게시물을 모아놓은 게시판
www.bok.or.kr
'투자 및 공부 (Investment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3년 해외주식 변경사항: PTP 종목 과세 원천징수 (0) | 2022.12.26 |
---|---|
테슬라 주식 재분할? 이에 따른 급등!? (2) | 2022.03.28 |
구글(알파벳) 주가 Alphabet A? C? 차이점 (0) | 2022.01.01 |
비트코인 상승 추세 언제까지 이어갈까? (ft. 하이먼민스키) (1) | 2021.08.22 |
하이먼민스키 모델에 따른 비트코인 차트 (ft.현실부정?) (0) | 2021.04.28 |